음성듣기
  • 김형렬을 처음 만나신 날
  • 학봉께서 갑신(甲申 : 道紀 14, 1884)년에 금구 환평(金溝 環坪) 사람 김형렬(金亨烈)을 처음 만나시니라.
  • 형렬은 부잣집 외아들로 태어나 일찍부터 (道)에 뜻을 품고 동무를 구하던 차에 ‘고부에 강가(姜哥)로서 신동이 있다.’는 소문을 전해 들으니라.
  • 하루는 형렬이 ‘내가 한번 그 사람을 만나 보리라.’ 결심하고 고부로 향하는데
  • 날이 저물어 우연히 태인 매당(梅堂) 불출암(佛出庵)으로 발길이 이끌려 들어가니라.
  • 형렬이 암자에 이르매 갑자기 부엉이가 요란하게 울어대거늘 중에게 “부엉이가 어찌 저렇게 우는가요?” 하고 물으니
  • 그 중이 대답하기를 “당신은 예사 사람이 아닌가 보오.” 하니라.
  • 이에 형렬이 “예사 사람이 아니면 내가 허신(虛神)이라도 된다는 말이오?” 하니 중이 “어디를 가시는 길에 여기까지 오시었소?” 하고 묻거늘
  • 형렬이 “내가 찾을 곳이 있어 길을 가다 나도 모르게 이끌려 들어왔는데, 오자마자 저렇게 부엉이가 울어대는 게 참 이상하오.” 하니라.
  • 이 도령이 바로 그 도령이오
  • 이 때 학봉께서 들어서시더니 별 모양의 누런 별전(別錢) 여섯 닢과 바둑알 같은 검은 돌을 가지고 돈치기놀이를 하시는데
  • 10 가운데 있는 것을 맞추려 하시되 자꾸 다른 것이 맞으니 “이것도 소용없다.” 하시며 형렬이 있는 쪽을 바라보시니라.
  • 11 형렬이 “어디 사시오?” 하며 말을 건네니 “나 어디 사는 것을 왜 묻소?” 하시거늘
  • 12 형렬이 “내가 이제 강가를 찾으러 고부에 가는 중이오.” 하니라.
  • 13 이에 학봉께서 “무슨 일로 찾으려고 하오?” 하고 물으시니
  • 14 형렬이 말하기를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안다는 말이 있지 않소. 큰사람이 될지 작은 사람이 될지 본 연후에 내가 외돌토리라 동무 삼으려고 그러오.” 하니라.
  • 15 이 때 마침 학봉과 한 고을에 사는 은양덕(殷陽德)이 다가와 “이 도령이 바로 그 도령이오.” 하고 일러 주거늘
  • 16 형렬이 크게 놀라 “아, 그러하오?” 하며 얼른 몸을 추슬러 기꺼이 재배를 하는지라
  • 17 학봉께서 “한 번 하면 되었지, 내가 죽었는가, 재배를 하게.” 하고 하대하시거늘
  • 18 형렬이 “내가 세 살만 더 먹었어도 존장(尊長)이 되려 했는데, 내 나이 몇이라고 그리 않겠소?” 하며 다시 일어나 절을 하니
  • 19 학봉께서 말씀하시기를 “네가 법줄은 아는구나.” 하시니라.
  • 20 이 때 학봉께서는 성수(聖壽) 열넷이요, 형렬의 나이는 스물셋이더라.
  • 나는 공중에 뜬 사람이다
  • 21 은양덕이 형렬에게 이르기를 “나이는 적지만 무슨 일이든지 다 아는 지혜가 있어 이사를 가려 해도 고을에서 못 가게 한다오.” 하니
  • 22 학봉께서 “우리 부모님 영혼이 금방 뜨시게 생겨서 내가 지키느라고 안 가지, 못 가게 한다고 내가 못 갈 사람이오?” 하시고
  • 23 형렬을 바라보시며 “내가 땅위에 서 있다고 아무리 땅을 파 보아라. 나는 공중에 뜬 사람이다. 한번 떠 봐라!” 하고 목침 위에 올라서시니라.
  • 24 형렬이 자못 의심스러워하며 허리를 숙여 두 손으로 학봉의 발을 받쳐드니 몸이 공중에 붕 뜨시거늘
  • 25 크게 놀라 손을 더 올리니 더 높이 뜨시고, 그렇게 손을 들면 드는 대로 위로 떠오르시더라.
  • 26 이로부터 학봉께서 형렬과 친면으로 지내시니라.

  • (증산도 道典 1:30)




  • *** 30장 초기 기록 『대순전경』은 김형렬을 동학혁명 때 청주에서 처음 만나신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김형렬 성도의 아내 김호연 성도의 증언에 따라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다. 이는 김형렬 성도의 집에서 오랫동안 사음을 지낸 김덕찬 성도가 김호연 성도의 착한 마음씨에 감동하여 들려준 내용이다.
  • 1절 30:1 김형렬(金亨烈, 1862∼1932). 본관 안동. 호는 태운(太雲). 임인(道紀 32, 1902)년 4월부터 기유(道紀 39, 1909)년 6월 그의 집에서 어천하시기까지 상제님을 수종한 천지공사 성문(聖門)의 수석 성도.
  • 1절 30:1 금구 환평. 현재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팥정이 남쪽에 있는 마을로 앞산이 고리 모양을 하고 있다.
  • 4절 30:4 불출암. 현재 전북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 삼리 마을에 있는 사찰. 미륵불이 땅에서 솟았다 하여 불출암이라 하였으나 현재는 화엄사(華嚴寺)로 개명하였다.
  • 14절 30:14 외돌토리. 김형렬 성도의 여러 형제들은 어려서 병으로 죽고 이 때 누이 한 사람만 살아 있었다.
  • 15절 30:15 은양덕(殷陽德, 1852∼1904). 본관 행주(幸州). 족보명 규섭(奎燮). 양덕(陽德) 현감을 지내 은양덕으로 불렸다. 부인 송씨와의 사이에 성우 등 6남 7녀를 두었다.